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생물안전작업대
- 세포구조
- 생명공학
- 운전적격성평가
- IQ
- BSC
- OQ
- 청정도 관리기준
- 진정세균
- 클린부스
- 세포소기관
- 호열성
- 고박테리아
- 세포치료제
- QC시험
- 그람염색법
- qc
- 캡시드
- GMP 문서
- 림프절 페스트
- 성능적격성평가
- 청정구역
- 림프절 부종
- 진정박테리아
- 설치적격성평가
- 무균작업설비
- 박테리오파지 증식
- 적격성평가
- 의약품 생산
- 흑사병의 종류
- Today
- Total
레이냥의 BioLog.
공기조화시스템(HVAC) 본문
안녕하세요. 냥레이냥입니다.
오늘은 의약품 생산시설의 일부인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Heating, Ventilation, Air-Conditioning System
줄여서 HVAC라고도 부릅니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은
'공기조화장치+필터(HEPA 필터 등)+배관+열교환기+운전관리 시스템'입니다.
시설의 구성
'중앙 공조기+배기처리 부분(작업실 말단의 급기 처리 부분)'입니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목적 은
의약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오염을 방지하고, 품질 저하를 예방하며,
작업원의 위생을 관리하고, 차압과 온습도를 유지하는 데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고려할 주요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청정도, 온습도, 환기 횟수, 차압, 제품의 제조 및 보관 시의 안정성
2) 생물 원료에 의한 교차오염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해당 품목별, 공정별로 독립된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조화 시스템의 관리 시, 고려할 사항 은 다음과 같다.
1) 자사의 규격에 따라 관리계획을 세우고, 부품의 교체, 운전현황, 필터의 교체, 세척, 윤활유 보충 냉매 보충 등의 예방정비활동을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2) 유지보수 계획은 모니터링의 경향 분석을 통하여 수립하고 진행한다.
3) 헤파 필터의 차압 관리를 통하여 유지보수 기간 사이의 적절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점검 또는 유지보수 시에는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4) 청정도 관리기준에 따른 A, B, C등급의 경우에는 설치된 헤파 필터는 정기적으로 완전성 검사(Integrity test)를 실시하여 해당 관리지역 사용의 적정성을 확인해야 한다.
5) 작업 재개 전 환경 모니터링을 통하여 청정도 기준에 적합한지 확인한 후 작업을 진행한다.
오늘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시설의 청정도 관리 (0) | 2020.02.21 |
---|---|
청정도 관리 기준 (0) | 2020.02.21 |
세포 치료제의 생산에 사용되는 제조 용수 (0) | 2020.02.18 |
바이오 의약품을 생산할 때, 어떤 장비를 사용할까?-(2) (0) | 2020.02.17 |
차폐(Containment)란 무엇인가? (1)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