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냥의 BioLog.

포자형성균 본문

제약 관련

포자형성균

냥레이냥 2020. 6. 6. 17:45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자형성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포자형성균은 GMP시설에서 환경모니터링을 하다가 발견하게 되면,

 

골치가 아픈 녀석인데요, 어떠한 특성때문에 그런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포자형성균

 

 

생존조건이 열악해지면 생존력을 보존하기 위해 생명활동을 정지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외층이 포자외막(Exosporium)으로 얇게 덮여있습니다.

 

 

 

그 안에 Spore coat, cortex, core, cell membrane, nuclear region 등으로 구성된 포자를 형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포자(spore)에는 Dipicolinic acid(DPA)가 포함되어 있고,

 

DPA가 칼슘과 결합하여 특수한 내열성을 갖는 화합물을 만듭니다.

 

 

 

 

이 때문에 포자형성균은 고열과 건조, 방사선, 화학살균제 등에 강한 내성을 가져

 

제거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러한 포자형성균을  제거하기 위해, 포자를 죽이는 sporicide로 알려진 소독제들로

 

청소 및 세척을 하여 균을 죽이거나, 훈증을 통해 멸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음번에는 sporicide로 알려진 소독제들에 대해서도 포스팅을 올려보겠습니다.

 

 

지금까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약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QC 시험항목- 엔도톡신시험  (0) 2020.06.10
QC 시험항목-성상시험  (0) 2020.06.08
시드 로트와 세포 은행  (1) 2020.06.06
GMP 기준서의 종류  (0) 2020.06.04
Upstream 공정과 Downstream 공정  (0) 2020.06.03
Comments